목록전체 글 (184)
Learn & Record
301. 스레드 - 프로세스 내에서의 작업 단위로서 시스템의 여러 자원을 할당받아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단위 302. 주요 스케줄링 알로리즘 - FIFO(선입선출), SJF 단기작업우선, HRN 303. UNIX/LINU의 주요 환경 변수 - 환경 변수의 명령어나 스크립트에서 사용하려면 변수명 앞에 $를 입력해야한다. 304. UNIX/LINUX 기본 명령어 - cat, chdir ~~ 등 305. IP 주소 -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 자원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한 주소 306. 서브네팅 - 할당된 네트워크 주소를 다시 여러 개의 작은 네트워크로 나누어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307. IPv6 - 현재 사용하고 있는 IP 주소 체계인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308. IPv..

1. 서브쿼리 - 쿼리문 안에 또 다른 쿼리문이 포함된 구문, 복합적이고 단계적인 질문을 할 때는 여러 개의 쿼리를 중첩해서 사용 - 단일행 서브쿼리(하나의 값만 리턴), 다중행 서브쿼리(여러개의 행을 리턴), 다중행열(여러개의 열 구성, 여러 행 리턴) 2. 단일행 서브쿼리 - DB에서도 복잡한 쿼리를 실행할 수 있으며 그 방법이 바로 서브쿼리 - 서브쿼리는 다른 쿼리문안에 내장되어 있는 SELECT문이며 연속적으로 실행할 쿼리르 하나로 합침 - 이 때 감싸는 쿼리를 외부쿼리라고 하고, 외부쿼리와 구분하고 실행 순서를 명확히 지정하기 위해 서브쿼리를 감쌈 # 최대 인구수를 가진 도시명 SELECT name FROM tCity WHERE popu = (SELECT MAX(popu) from tCity);..

가장 좋아하는 영화인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에 대한 씨네21 송형국 평론가님의 글입니다. 좋아하는 글을 필사 후 공유합니다. 영화를 아직 안 보셨다면 스포 주의하시길 바라고 글이 마음에 드신다면, 필사도 추천드립니다. 원문 주소는 글 아래에 있습니다. 영화 리뷰 영상과 플레이리스트도 좋아서 함께 공유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우리 모두는 하찮으므로 위대하다. 이 글과 이 글이 다룰 영화가 목표 삼은 명제다. 왜 그런지는 차차 쓰기로 하고 우선 의 약칭부터 정리하고 봐야겠다. 제목의 각 어절에서 첫 자음을 딴 이 어떨까 싶다. 'ㅇ'은 시작도 끝도 없이 순환하는 모양인 데다 극중 중요한 소품인 베이글 또는 원형 눈알과 닮아 있어 이 영화를 가리키기에 적당해 보인다. 한글에서 유일하게 음가..
251. 단순 if문 - 조건에 따라서 실행할 문장을 달리하는 제어문이며, 단순 if문은 조건이 한 개 일 때 사용하는 제어문이다. 252. 다중 if문 - 조건이 여러 개 일 때 사용하는 제어문이다. 253. switch문 - 조건에 따라 분기할 곳이 여러 곳인 경우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는 제어문이다. 254. for문 - 초기값, 최종값, 증가값을 지정하는 수식을 이용해 정해진 횟수를 반복하는 제어문이다. 255. while문 - 조건이 참인 동안 실행할 문장을 반복 수행하는 제어문이다. 256. do~while문 - 조건이 참인 동안 정해진 문장을 반복 수행하다가 조건이 거짓이면 반복문을 벗어난 while문과 같은 동작을 하는데, 다른 점은 do~while문은 실행할 문장을 무조건 한 번 실행한 ..

1. INSERT - 기본형식 : INSERT INTO 테이블 (필드목록) VALUES (값목록) - 마리아 디비는 INTO 생략을 허용하지만 SQL 표준에는 INTO가 필수 - INTO 다음에 새 레코드를 삽입할 테이블 이름을 적음, 콤마로 구분 나열, VALUES절의 값 목록 대입 값 나열 - 자리에 맞춰 VALUES 값을 작성하지 않았을 시, 오류 - 필드명을 명시했을 시, 자리가 변경되어 VALUES 값 작성 가능 # 서울 레코드 삽입 쿼리문 INSERT INTO tcity (NAME, AREA, metro, region) VALUES ('서울', 605, 974, 'y', '경기'); # 평택 데이터 추가 쿼리문 INSERT INTO tcity VALUES ('평택', 453, 51, 'n', ..
201. DAS (Direct Attahed Storage) - 서버와 저장장치를 전용 케이블로 직접 연결하는 방식으로, 일반 가정에서 컴퓨터에 외장하드를 연결하는 것이 해당된다 202. NAS (Network Attached torage) - 서버와 저장장치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는 방식 203. SAN (Storage Area Network) - DAS의 빠른 처리와 NAS의 파일 공유 장점을 혼합한 방식 204. DDL (Data Define Language) - Schema, domain, tablem view, index를 정의하거나 변경 또는 삭제할 때 사용하는 언어 205.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데이터 조작어) - 데이터베이스 사용자가 응용 프로그램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