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84)
Learn & Record

1. Acitivity Lifecylce (1) - 앱의 완성도,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함 - 콜백 - onCreate : 필수적으로 구현, 생명주기 중 한 번만 발생해야 하는 로직 실행 (멤버 변수 정의, UI) - onStart : Activity가 사용자에게 표시, 앱은 Acitivity를 포그라운드로 보내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준비 - onResume : Activity가 포그라운드에 표시되어, 사용자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상태, 포커스가 떠날 때까지 onResume상태 머뭄 - onPause : 활동을 떠나는 첫 신호, 매우 짧음, 활동이 포그라운드있진 않지만, 잠시 후 다시 시작할 작업을 일시 중지하거나 정지 - onStop : Activity가 사용자에게 더 이상 표시 하지 ..

1. 1:다 관계 - 가장 흔하며, 대표적으로 부서와 직원 관계가 있다 - 지원은 한 부서에 소속되며, 한 부서에는 여러 명의 직원이 있음 2. 다:다 관계 - 양쪽 엔티티가 서로 복수개의 엔티티로 연결 - 예시) 학생과 과목간의 수강 관계 - 관계형 DB로는 다:다 관계를 표현할 수 없어 두 개의 1:다 관계로 변환하여 표현 3. 정규화 - 테이블을 재구성하여 논리적 구조를 개선하는 절차 - 불필요하게 중복되는 데이터를 제거하여 저장 공간을 절약하고 전체적인 성능을 향상시킴 - 제 1 정규화 : 필드의 데이터를 원자화(Ayomicity) 함. 필드에는 단일 값을 저장하고 필드끼리는 독립적이어야 함 - 한 필드에 여러 값을 저장하면, 필드 길이가 낭비가 됨. / 연산자로 비교 못 해서 LIKE를 사용하여..
- 영상 뷰 : MediaController - 크기가 큰 영상 : Exoplayer ( 기능이 다양함, 사용이 쉽다) - DRM(디지털 저작권)을 보장할 수 있다 [YoutubeActivity.kt] package com.example.fastcampus import android.content.Context import android.content.Intent import androidx.appcompat.app.AppCompatActivity import android.os.Bundle import android.util.Log import android.view.LayoutInflater import android.view.View import android.view.ViewGroup import..

https://www.comcbt.com/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전자문제집, CBT, 컴씨비티, 씨비티,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 컴활, 컴퓨터활용능력, 1급, 2급, 워드, 정보처리, 전기, 소방, 기계, 사무자동화, 정보기기, 제과, 제빵, 한국사, 공무원, 수능, 필기, www.comcbt.com 기출 문제 공부를 제공해주는 COMCBT 감사합니다. ㅎㅎ ◠ ̫◠ [ 1과목 소프트웨어 설계 ] 1. XP(eXtreme Programming)의 기본원리로 볼 수 없는 것은? - 애자일 방법론 :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에 있어서 아무런 계획이 없는 개발 방법과 계획이 지나치게 많은 개발 방법들 사이에서 타협점을 찾고자 하는 방법론/적은 규모의 개발 프로젝트에 좋다 (XP와 SCRUM ..
1. 모델링 - 큰 프로젝트 시 규모가 크기에 체계없이 진행하다가는 시행착오와 비용 낭비, 실패 가능성 급증 - 그래서 많은 방법론이 등장. 폭포수 모델, 애자일 모델 등 - 폭포수 모델 : 기획 > 분석 > 설계 > 구현 > 테스트 > 수정 - 오랜 기간 경험에 의해 검증된 만큼 효율성 높음 - 각 단계는 엄격히 분리되어 있어 앞 단계를 제대로 수행한 후 다음 단계로 가야함. 거꾸로 되돌리기 쉽지 않고 비용상승 2. 기획 - 어떤 프로그램을 누구 어떻게 작성할 지 계획을 세우며 요구 기능, 예산, 개발 기간을 결정 - 책임자 역할 3. *중요* 분석 - 실제 수작업을 면밀히 분석하는 업무 파악부터 시작 - 업무의 개요와 목적, 수행 방법, 규칙과 절차 등의 비즈니스 로직을 문서로 정리 - 개발자는 실무..
이 글을 작성해주신 허지원 교수님은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님이신데, '나도 아직 나를 모른다'라는 제목으로 글을 작성해주신 것이 위로가 되네요. 저렇게나 많이 공부하신 분도 모르는 것이기에, 제가 저를 모르는 것이 잘못된 것이 아니라는 위안이 됩니다. 좋아하는 글을 필사 후 공유합니다. 글이 마음에 드신다면, 필사도 추천드립니다. 이번 글 같은 경우 동일 제목의 책도 추천드립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우리는 아직 우리 자신을 모릅니다. 수십 년에 걸쳐 누적된 무의식-전의식-의식의 구조 사이사이에 어떤 기억과 감정들이 숨어있는지 여전히 모릅니다. 그러니 자신에 대해 함부로 아무렇게나 말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사건 하나하나마다에 의미를 부여하며, 당신을 마음대로 정체화(identifi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