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엔티티 (4)
Learn & Record

1.JPA / ORM - ORM : 자바와 같은 객체지향 언어에서 의미하는 RDB Relational Database의 테이블을 자동으로 매핑하는 방법 - 클래스는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과 매핑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RDB 테이블 어쩔 수 없는 불일치 존재 - ORM이 이 둘의 불일치와 제약사항을 해결하는 역할 - ORM을 이용하면 쿼리문이 아닌 코드(메서드)로 데이터 조작 가능 - JPA : ORM 기술 표준으로 채택된 인터페이스 모음 - ORM이 큰 개념이라면 JPA는 더 구체화된 스펙을 포함 - 즉 JPA 또한 실제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고 어떻게 동작해야 하는지 메커니즘을 정리한 표준 명세 2. JPA 사용 시 장점 - 특정 데이터베이스에 종속되지 않음 - 객체지향적 프로그램 - 생..
[ 제 1장 데이터모델링의 이해 ] 1. 데이터 모델링이란 -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데이터 관점의 업무 분석 기법 - 현실 세계의 데이터를 약속된 표기법으로 표현하는 과정 -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분석 및 설계의 과정 2. 데이터 모델링 유의점 - 중복, 비유연성, 비일관성 3.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구조 3단계 - 외부스키마, 개념스키마, 내부스키마 4. ERD 작성 순서 - 1. 엔티티를 그린다 - 2. 엔티티를 적절하게 배치한다 - 3. 엔티티 간 관계를 설정한다 - 4. 관계명을 기술한다 - 5. 관계의 참여도를 기술한다 - 6. 관계의 필수여부를 기술한다 5. 엔티티의 특징 - 반드시 해당 업무에서 필요하고 관리하고자 하는 정보이어야 한다 - 유일한 식별자에 의해 식별이 가능해야 한다..
https://blog.naver.com/yeeun0147/223207612092 SQLD SQL개발자 50회 시험 후기 | 독학, 공부방법, 요약본 pdf, 기출문제 pdf, 노랭이, 유선배, 유튜브 안녕하세요 예은입니다! 이번 여름방학 마지막 3번째 자격증 그 대상은 바로 어제인 9월 9일에 본 SQLD... blog.naver.com [ 1과목 PART 1.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 모델링의 특징 - 추상화 : 현실세계를 일정한 형식에 맞추어 표현 - 단순화 : 복잡한 현실세계를 약속된 규야겡 의해 제한된 표기법이나 언어로 표현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 - 명확화 :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대상에 대한 애매모호함을 제거하고 정확하게 현상을 기술하는 것 데이터 모델링의 중요성 및..
1. 모델링 - 큰 프로젝트 시 규모가 크기에 체계없이 진행하다가는 시행착오와 비용 낭비, 실패 가능성 급증 - 그래서 많은 방법론이 등장. 폭포수 모델, 애자일 모델 등 - 폭포수 모델 : 기획 > 분석 > 설계 > 구현 > 테스트 > 수정 - 오랜 기간 경험에 의해 검증된 만큼 효율성 높음 - 각 단계는 엄격히 분리되어 있어 앞 단계를 제대로 수행한 후 다음 단계로 가야함. 거꾸로 되돌리기 쉽지 않고 비용상승 2. 기획 - 어떤 프로그램을 누구 어떻게 작성할 지 계획을 세우며 요구 기능, 예산, 개발 기간을 결정 - 책임자 역할 3. *중요* 분석 - 실제 수작업을 면밀히 분석하는 업무 파악부터 시작 - 업무의 개요와 목적, 수행 방법, 규칙과 절차 등의 비즈니스 로직을 문서로 정리 - 개발자는 실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