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dbms (2)
Learn & Record
https://velog.io/@dlsdk2526/%EC%A0%95%EC%B2%98%EA%B8%B0-%EC%8B%A4%EA%B8%B0-%EC%9A%94%EC%95%BD-3-%EB%8D%B0%EC%9D%B4%ED%84%B0-%EC%9E%85%EC%B6%9C%EB%A0%A5 정처기 실기 요약 [3] 데이터 입출력 1 논리 데이터 데이터 모델현실 세계의 정보를 인간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추상화하여 표현한 모델데이터 모델 절차요구사항 분석 > 개념적 > 논리적(정규화) > 물리적(반정규화)논리 데 velog.io 좋은 공부자료를 공유해주시는 분들 감사합니다. 데이터 모델 - 현실 세계의 정보를 인간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추상화하여 표현한 모델 데이터 모델 절차 - 요구사항 분석 > 개념적 > 논리..
46. 객체 - 데이터와 데이터를 처리하는 함수를 묶어 놓은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 - 데이터, 함수 등 47. 클래스 - 공통된 속성과 연산을 갖는 객체의 집합으로, 객체의 일반적인 타입 - 클래스에 속한 각각의 객체를 인스턴스라 하며,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인스턴스화 라고 한다. 48. 캡슐화 - 데이터와 데이터를 처리하는 함수를 하나로 묶는 것을 의미한다. 49. 상속 - 이미 정의된 상위클래스의 모든 속성과 연산을 하위 클래스가 물려받는 것이다. 50. 다형성 - 객체가 연산을 수행하게 될 때 각각의 객체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방법으로 응답할 수 있는 능력 51. 연관성 - 두 개 이상의 객체들이 상호 참조하는 관계 - 연관화, 분류화, 집단화, 일반화, 특수화/상세화 52. 객체지향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