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Dev/SQL (15)
Learn & Record
1. 조인 연습 문제 SELECT * FROM tEmployee E INNER JOIN tProject P ON E.name = P.employee; SELECT * FROM tEmployee E LEFT OUTER JOIN tProject P ON E.name = P.employee; SELECT * FROM tEmployee E RIGHT OUTER JOIN tProject P ON E.name = P.employee; - 다음 코드가 어떻게 나올지 예측해보고 이유 생각해보기 - 답 : 모두 같게 나온다 2. 다중 조인 - 조인한 결과셋도 하나의 테이블이므로 그 결과와 다른 테이블을 조인하는 것이 가능. 이를 다중 조인이라고 함 SELECT * FROM tcar C INNER JOIN tmaker M..
1. 조인(JOIN) - 하나에 쿼리로 여러 개의 테이블에서 조건에 맞는 데이터를 조회하는 방법 - 여러 테이블에 존재하는 정보를 한 번에 조사하고 요약 정보를 뽑아냄 2. 단순 조인 - 두 개 이상의 테이블을 특별한 조건없이 논리곱(AND)으로 조합 - FROM 절에 조회할 테이블을 콤마(,) 나열하여 출력 - 논리곱에 조건을 지정하면 이 중 원하는 조합만 표시 - WHERE 조건 절에 tCar의 회사명과 tMaker의 회사명이 일치하는 것만 표시하도록 지정 SELECT * FROM tCar, tMaker WHERE tCar.maker = tMaker.maker; - 출력 중복을 없애려면 SELECT의 필드 목록에 원하는 필드명만 적는다 SELECT tcar.car, tcar.price, tmaker...
1. JDBC UPDATE 구현 [ DBUpdate 파일 ] package ch_01.day2402141516; import java.sql.SQLException;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DBUpdate extends DBSelect{ protected User modifyUser(){ User user = new User();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Boolean validate = false; String validateTemp; do { System.out.println("정보 수정 할 회원의 아이디를 입력하세요: "); user.userID = scanner.nextLine(); System.out..
1. 참조관계 - 직원 테이블을 생성하고, 직원의 이름을 기본키로 지정하고 직원테이블과 관계 맺을 프로젝트 테이블 생성 2. 외래키 제약 - 직원과 프로젝트의 샘플 데이터는 규칙에 맞게 입력하여 참조 관계가 정확 INSERT INTO `tProject` VALUES (7, '홍길동', ' 원자재 매입', 900); CREATE TABLE `tProject` ( `projectID` INT PRIMARY KEY, `employee` CHAR(10) NOT NULL, `project` VARCHAR(30) NOT NULL, `cost` INT, CONSTRAINT FK_emp FOREIGN KEY(`employee`) REFERENCES `temployee` (`name`) ); - 프로젝트 테이블 삭제 후..

1. 1:다 관계 - 가장 흔하며, 대표적으로 부서와 직원 관계가 있다 - 지원은 한 부서에 소속되며, 한 부서에는 여러 명의 직원이 있음 2. 다:다 관계 - 양쪽 엔티티가 서로 복수개의 엔티티로 연결 - 예시) 학생과 과목간의 수강 관계 - 관계형 DB로는 다:다 관계를 표현할 수 없어 두 개의 1:다 관계로 변환하여 표현 3. 정규화 - 테이블을 재구성하여 논리적 구조를 개선하는 절차 - 불필요하게 중복되는 데이터를 제거하여 저장 공간을 절약하고 전체적인 성능을 향상시킴 - 제 1 정규화 : 필드의 데이터를 원자화(Ayomicity) 함. 필드에는 단일 값을 저장하고 필드끼리는 독립적이어야 함 - 한 필드에 여러 값을 저장하면, 필드 길이가 낭비가 됨. / 연산자로 비교 못 해서 LIKE를 사용하여..
1. 모델링 - 큰 프로젝트 시 규모가 크기에 체계없이 진행하다가는 시행착오와 비용 낭비, 실패 가능성 급증 - 그래서 많은 방법론이 등장. 폭포수 모델, 애자일 모델 등 - 폭포수 모델 : 기획 > 분석 > 설계 > 구현 > 테스트 > 수정 - 오랜 기간 경험에 의해 검증된 만큼 효율성 높음 - 각 단계는 엄격히 분리되어 있어 앞 단계를 제대로 수행한 후 다음 단계로 가야함. 거꾸로 되돌리기 쉽지 않고 비용상승 2. 기획 - 어떤 프로그램을 누구 어떻게 작성할 지 계획을 세우며 요구 기능, 예산, 개발 기간을 결정 - 책임자 역할 3. *중요* 분석 - 실제 수작업을 면밀히 분석하는 업무 파악부터 시작 - 업무의 개요와 목적, 수행 방법, 규칙과 절차 등의 비즈니스 로직을 문서로 정리 - 개발자는 실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