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Dev/HTML CSS JS (20)
Learn & Record

1. flex 자식 요소의 배치방법 지정하기 - 특징은 float, inline-block 처럼 배치할 요소에 속성을 지정하는 것이 아니라 부모 요소(컨테이너)에 속성을 지정 - display : flex - 자신은 블록 속성을 유지하면서 자식 요소에 flex 환경 설정 - display : inline-flex - 자신은 인라인 속성으로 변경하면서 자식 요소에 flex 환경 설정 - flex-direction - 자식 요소의 정렬 방향 변경하기 - flex-direction : row - flex의 기본축을 가로로 지정. 주축을 가로로, 교차축을 세로로 지정. 기본값 - flex-direction : column - flex의 기본축을 세로로 지정. 주축을 세로로 교차축을 가로로 지정. - flex-d..

1. Table 테이블 - 표는 웹 페이지에서 자료를 정리 때 자주 사용하는 요소, 실제는 게시판이나 회원 가입 페이지의 레이아웃 만들 때 사용 - 기본적으로 몇줄(=행), 몇칸(=열) 이라고 불리움 (행, 열) | 표를 이용한 형태를 만들 때 사용하는 태그 - table 구조 - table > tr > td - 칸의 기본적인 성격 y축상의 middle - table 관련 태그 - table : table 전체를 감싸는 태그 - tr("table row") : 테이블의 행을 의미하는 태그, 자손으로 th나 td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 td("table data") : 테이블의 일반 행(칸)을 의미하는 태그, 부모인 tr안에 있어야 한다 - base style : 왼쪽정렬 (text-align:left)..

1. Semantic Tag (시맨틱 태그) - 시맨틱 구조 - 검색 엔진 같은 프로그램에서 자료를 검색하여 정보의 의미를 분석할 수 있게 도와주는 지능형 웹 - 어떤 요소가 어떤 내용 또는 태그를 포함할 수 있는 지에 관한 정의 - 웹 페이지의 구조를 더욱 쉽게 이해 - 의미 요소를 가진 태그 - 자신의 컨텐츠를 명확하게 정의 -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의미를 명확하게 해주는 장점 - 컴퓨터의 정보를 이해, 논리적인 추론이 가능한 구조 - 시맨틱 태그 종류 - header - 머리말 의미, 헤더, 로고, 네비게이션, 검색창, - 페이지 맨 위쪽에 삽입하는 머리말을 의미 - 주로 로고를 중심으로 네비게이션 메뉴와 검색 창이 들어가며, 내비게이션 메뉴는 태그로 구성 - nav - navigation 줄임말..

1. 선택자 - 전체 선택자 - 모든 웹페이지에 빠지지 않고 사용하는 선택자로 웹 페이지 시작 전 초기화시키기 위해서도 사용 - body 안에 있는 태그뿐 아니라 Lorem ipsum Lorem ipsum Lorem ipsum Lorem ipsum Lorem ipsum Lorem ipsum LoremLoremLoremLorem ipsum 3. 아이디, 클래스 선택자 - 아이디 : 아이디 속성을 가지고 있는 태그를 선택 - 클래스 : 특정한 클래스를 가지고 있는 태그를 선택 good morning good morning good morning good morning good morning - id는 고유값이어야 하지만, 스타일시트에서는 id 속성 중복이 문제가 되지 않음 - 하지만 자바스크립트는 id 속성..

1. box 요소 - border : 테두리굵기, 스타일, 색상 - margin : 바깥쪽 여백 - padding : 안쪽 여백 - 박스 block 속성 - 마진 margin 속성 : 박스의 바깥쪽 여백, 주로 박스 간의 간격 설정에 주로 사용 - 패딩 padding 속성 : 박스의 안쪽 여백, 박스 안쪽의 콘텐츠 간격을 설정할 때 주로 사용 - 박스의 실제 넓이와 높이 공식 - 한개의 박스에 margin * border * padding값이 모두 적용되었다는 가정 - width 속성과 height 속성은 텍스트가 들어가는 영역(contents)의 넓이와 높이를 지정 - 전체넓이 : width + 2 * (margin + border + padding) - 전체높이 : height + 2 * (margi..

1. CSS - 각 요소들이 어떻게 보이는가를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스타일 시트 언어로, - 홈페이지의 스타일 즉 디자인 요소를 담당 - 선택자(Selector) { 속성 : 값;} - 스타일은 기본적으로는 마지막에 작성된 순서대로 표현되어짐 - 스타일 문법의 종류 - 외부 스타일 시트 - 외부에 작성된 CSS문서 즉 스타일 시트 파일을 연결하여 적용하는 방법 - 내부 스타일 시트 - 태그를 사용하여 CSS 스타일을 적용하는 방법 - - 인라인 스타일(Inline style) - HTML 요소 내부에 style 속성을 사용하여 CSS 스타일을 적용하는 방법 - 2. CSS 지정 방식 - 클래스 선택자 - 본문 (class='name') / 스타일(.name) - 특정한 이름을 부여하여 선택하는 선택자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