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78)
Learn & Record
1. 쿠키 객체에 저장된 모든 쿠키 삭제하기 아 이 디 : 비밀번호 : 2. 연습문제 1) cookie.jsp 파일을 생성합니다. * input 태그에 text 유형을 이용하여 아이디, 비밀번호 항목을 작성합니다. * form 태그의 action 속성 값은 cookie_process.jsp 로 작성합니다. 2) cookie_process.jsp 파일을 생성합니다. * request 내장 객체의 getParameter() 메서드를 이용하여 전송된 요청 파라미터 값을 받습니다. *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인증되면 아이디 값을 쿠키명 userId 의 쿠키 값으로 설정합니다. * response 내장 객체의 sendRedirect() 메서드를 이용하여 welcome.jsp 파일로 이동하도록 작성합니다. 3) wel..

1. 계산기 완료 package kr.jeongmo.calculator import androidx.appcompat.app.AppCompatActivity import android.os.Bundle import android.widget.Button import android.widget.EditText import android.widget.TextView class MainActivity : AppCompatActivity() { lateinit var editText01: EditText lateinit var editText02: EditText lateinit var btnAdd: Button lateinit var btnSub: Button lateinit var btnMul: Button..
1. Compaion object class Dog { companion object { var name: String = "None" fun printName() { println("Dog 이름은 ${name}입니다.") } } fun walk() { println("Dog가 뛰어갑니다.") } } fun main() { Cat.name = "mikey" Cat.printName() // Cat의 이름은 mikey입니다. // companion object 안의 코드 사용하기 Dog.name = "Linda" Dog.printName() // Dog 이름은 Linda입니다. // Dog.walk() // companion object 밖에 선언된 메서드는 사용하지 못함 // companion objec..
1. form 폼 태그 -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입력된 모든 데이터를 한 번에 보낼 수 있도록 사용하는 태그 - form 태그 종류 : form, input, select, textarea - form 태그 속성 : action (전송 페이지 주소), method (폼 데이터가 전송되는 HTTP 방식), name (폼 식별 위한 이름) - , target(폼 처리 결과의 응답을 실행할 프레임을 설정), enctype(폼을 전송하는 콘텐츠 MME 유형 설정) - , accept-charset(문자 인코딩 설정) - GET 방식과 POST 방식의 차이 - GET : URL 통해 전송, 제한적, 빠름, 보안 없음 - POST : HTTP 헤더 속에 감춰서 전송, 제한 없음, 느림, 보안 있음 - GET..

1. layout 파일 생성 - res > layout > new > layout 파일 생성 - File name : 파일명 / Root element : xml 유형 2. id 속성 3. layout_width, layout_height 속성 - match_parent : 이름 그대로 자신의 부모에 너비나 높이를 맞춘다는 의미 - wrap_content : 글자가 꼭 들어갈 정도로 자신이 너비나 높이를 설정한다는 의미 - px 처럼 절댓값으로 설정 할 수 있지만, 기기마다 크기가 달라서 match 또는 wrap 크기로 지정 4. background 속성 - 위젯의 색상을 주로 RGB 값으로 지정 - 레이아웃 전체는 빨강, 버튼은 초록으로 지정 5. padding, margin 속성 - padding :..
1. Class 1. 코틀린에서 사용되는 클래스의 기본 구조 class 클래스이름 { var 변수 fun 함수() { 코드 } } 2. 클래스 코드 작성하기 클래스를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클래스의 이름을 정하고, 이름 앞에 class 키워드를 붙여서 만들 수 있음 클래스 이름 다음에는 클래스의 범위를 지정하는 중괄호({})가 있어야 함 이 중괄호를 스코프 scope라고 하는데, 클래스에서 사용했기 때문에 클래스 스코프라고 함 class 클래스이름 { // 클래스 스코프 class scope } '몇몇 예외'는 있지만 대부분의 코드는 클래스 스코프 안에 작성 작성된 클래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생성자라고 불리는 함수가 호출되어야 하는데, 코틀린은 프라이머리 primary와 세컨더리 Secondary 2개의 ..